재야 한글학자 김슬옹 박사의 의미깊은 외침을 전하다
재야 한글학자 김슬옹 박사의 의미깊은 외침을 전하다
  • 김기현 기자
  • 승인 2022.01.09 11:37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슬옹 박사
김슬옹 박사

[칭찬신문 =김기현기자] 한 재야 국어학자의  의미심장한 역설적인 외침에 귀기울여 보자!
본인이 거부해서 재야학자가 아니라 큰인물을 알아보는 학교가 없으니 더 슬프다.  다음은 한글학자 김슬옹 박사의 페이스북에 올린  감사의 글을 그대로 옮겨본다.

김슬옹 박사
김슬옹 박사

고마운 말씀(감사의 글)
백전백패에도 살아남다.
김슬옹(세종국어문화원 원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객원교수)


25년간 모교인 연세대를 비롯해 전국의 거의 모든 주요 대학(국문과, 국어교육과, 교육대학원, 교양)에 전임 지원 원서를 냈습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백전백패, 재야 학자로 재야 선비로 평생을 살아가게 됐습니다. 
이제 환갑이 되어 되돌아보니, 임용을 거부(?) 했던 대학들이 진정으로 고맙습니다. 전임이 됐다면 이 많은 저술을 남기지 못했을 것입니다. 궁형에도 살아남아 ≪사기≫를 저술한 사마천이 늘 등대가 되어 주었습니다.
끝없이 이어지는 불운과 고통과 절망을 연구와 저술로 이겨나가게 해준 아내와 지인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특히 대학 시절 등록금을 대신 내주신 고 마광수 교수님, 연세대 한글물결 동문 여러분과 가난한 재야 학자의 연구비를 후원해 주신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최홍식 회장님, 훈민정음세계화재단 이기남 이사장님, 재일동포 정희승 회장님, 애니하우스썬의 고혜라 대표님, 연세대국문과총동문회 이자욱 회장님, 외솔상의 외솔 최현배 선생 유족분들, 간송미술문화재단 전인건 관장님, 몽골울란바타르대학교 최기호 총장님, 한국외국어대학교 임경순 교수님, 국어문화운동본부의 남영신 회장님, 한국어인공지능학회 이대로 이사장님, 짚신문학회 오동춘 회장님, 세종문화상 상금으로 후원해 주신 국민 여러분 고맙습니다.


더불어 대한민국 한류대상, 으뜸 한글지킴이상, 자랑스러운 한국인 대상, 3ㆍ1운동 100주년 기념 국가대표 33인상, 칭찬대학교 세계칭찬의날 칭찬지식인 대상, 문화체육부장관상, 국어운동 공로 표창, 대한민국독서진흥대상, 연세 봉사상, 짚신문학 평론상, 강의평가 최우수상(2회) 등으로 격려해 주신 단체 여러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김슬옹 박사
김슬옹 박사

♣ 김슬옹 저술 목록_1989-2021
1. 김한들(김슬옹)(1989). ≪입체 영상 한자 기억법≫. 대입정보사.
2. 김한들(김슬옹)(1992). ≪새 국어 학습법≫. 계몽사.
3. 허재영․김슬옹(1993). ≪국어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서광학술자료사. 
4. 김슬옹(1994). ≪우리말 산책≫. 미래사. 
5. 김슬옹․김불꾼․신연희(1994). ≪한글이름 짓기사전≫. 미래사 
6. 김슬옹(1995). ≪발가벗은 언어는 눈부시다≫. 동방미디어. 
7. 김슬옹․허재영(1995). ≪통합교과와 생각하기 논술≫. 토담. 
8. 이원근ㆍ김슬옹(1999). ≪말과 사회≫. 세종문화사.
9. 송재희․김슬옹(1999). ≪대중 매체 읽고 쓰고 생각하기≫. 세종서적 
10. 김슬옹(1999). ≪그걸 말이라고 하니≫. 다른우리. * 김슬옹(1994). 우리말 산책. 미래사  증보 개정판. 
11. 김슬옹(1999). ≪말을 번지르르하게 하는 저놈을 매우 쳐라≫. 다른우리. 
12. 김슬옹(2000). ≪삐딱하게 보고 뒤집어 생각해라≫. 미래 M&B. .
13. 김슬옹(2000). ≪통합교육을 위한 삶쓰기 논술 교육≫. 인간과자연사. 
14. 김성기 외 47인(2001). ≪우리시대, 또 다른 시각≫. 책세상. 김슬옹(2001). 어린이 이야기 속의 어른들 강박관념에 대한 질타(최기숙, 2001.어린이 이야기, 그 거세된 꿈. 책세상, 서평). 김성기 외 47인(2001). 우리시대, 또 다른 시각. 책세상. 159-163쪽.
15. 김슬옹 외(2001: 개정판).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우는 동화 읽기 쓰기≫. 다른세상. 
16. 김슬옹․김불꾼․신연희(2002). ≪뜻깊은 큰소리 한글이름≫. 다른우리
17. 강준만·김성수·김슬옹·남승희·임상철·최연구(2003). ≪마광수 살리기≫. 중심.
18. 최기호․김미형․이영숙․임소영․강옥희․김슬옹(2005). ≪인터넷 글쓰기의 달인≫. 세종서적 
19. 김슬옹(2005).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20. 김슬옹․마상룡 외(2006). ≪논술 짱 구술 얍≫. 세종서적.
21. 신혜금․김슬옹(2006). ≪대한민국 큰 섬 독도≫. 덩더쿵
22. 조경숙․김슬옹․김형배(2006). ≪나만 모르는 우리말≫. 모멘토. 
23. 목원대학교편[최유찬․허경진․표언복․다무라․이승이․김광해․김남돈․김슬옹․허재영․박헌수․백지운](2006). ≪해방 60년. 한국어문과 일본≫. 보고사. 
24. 김슬옹(2007).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아이세움. 
25. 최운선․김슬옹․성대선ㆍ조일영(2008). ≪논술 이렇게 써야 한다≫. 한국교육문화원. 
26. 이광석 김슬옹 외(2008). ≪언어 논리 모의고사 문제집(PSAT)≫. 고시연구사. 
27. 김슬옹(2008). ≪시간이 흐르면 말도 변해≫. 웅진다책.
28. 로버트 J. 굴라 지음/이경석 김슬옹 옮김(2009). ≪논리로 속이는 법 속지 않는 법≫. 모멘토. 
29. 성치열ㆍ김슬옹 외 8인(2009). ≪한국문학과 상호텍스트성≫. 푸른사상. 
30. 김슬옹(2009). ≪담론학과 언어분석-맥락·담론·의미-≫. 한국학술정보(주). 
31. 김혜숙 김규훈 김성희 김슬옹 김혜련 이남주 이호형 전한성 지인환 최혜정 한정현 함성민(2010). ≪국어교육의 통합성을 지향하는 매체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동국대학교출판부. 
32. 전정예  외 10(2010). ≪새로운 국어사 연구론≫. 경진. 
33. 김슬옹(2010/2011).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개정판)≫. 지식산업사.
34. 김슬옹(2010). ≪디지털 문명의 으뜸 글자≫. 한솔교육.
35. 김영희 엮음/김용하, 김슬옹 외 22인(2011). ≪한국어 통사론의 전망(김영희 선생 정년퇴임 기념 논총)≫. 경진.
36. 한국사회언어학회(2012). ≪사회언어학 사전≫. 소통. 김슬옹 외 45명.
37. 김슬옹 외(2012). ≪이야기가 있는 한글(카드북)≫. 을파소.
38. 김슬옹(2012). ≪조선시대의 훈민정음 발달사≫. 역락.
39. 김슬옹(2012). ≪맥락으로 통합되는 국어교육의 길찾기≫. 동국대출판부
40. 피터 로드니·에바 올롭손·베네딕트 마다니에·이건범·이상규·김슬옹·김혜정·이현주·김영명(2013). ≪쉬운 언어 정책과 자국어 보호 정책의 만남≫. 피어나.
41. 서경덕·호사카 유지·안신권·김현숙·김민규·황평우·김도형·윤효정·송선표·김슬옹·김홍우·진용선(2013). ≪당신이 알아야 할 한국사≫. 엔트리.
42. 김슬옹·김불꾼·신연희(2013). ≪한글이름 사전≫. 한겨레출판사.
43. 김슬옹(2013). ≪한글을 지킨 사람들≫. 아이세움.
44. 김슬옹(2013). ≪한글 우수성과 한글 세계화≫. 한글파크. 
45. 김슬옹(2013). ≪세종 한글로 세상을 바꾸다≫. 창비.
46. 김슬옹(2013). ≪열린 눈으로 생각의 무지개를 펼쳐라≫. 글누림.
47. 서경덕·안태근·한시준·김상기·이명화·서영희·김슬옹·임원빈·장철환·김윤순(2014). ≪당신이 알아야 할 한국인 10≫. 엔트리.
48. 김하수 엮음(2014). ≪문제로서의 언어4≫. 커뮤니케이션북스. 90-116쪽.
49. 박인기·김슬옹·정성현(2014). ≪토론교육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스푼북.
50. 주경희·김슬옹·이승연·김일환(2015). ≪국어 진흥 운동의 이론적 기반 연구≫. 휴먼컬처아리랑. 
51. 성낙수 외 14인(2015). ≪국어학과 국어교육학≫. 채륜.
52. 김슬옹 엮음(2015). ≪훈민정음(언문·한글) 논저·자료 문헌 목록≫. 역락. 
53. 김슬옹 글/강수현 그림(2015). ≪누구나 알아야 할 훈민정음, 한글이야기 28≫. 글누림
54. 김슬옹(2015). ≪훈민정음 해례본: 한글의 탄생과 역사≫(간송본 복간본 해제). 교보문고.
55. 김슬옹(2015). ≪퀴즈 세종대왕≫. 한글파크.
56. 간송미술문화재단 편(2015). ≪訓民正音≫(복간본). 교보문고.(김슬옹 해제)
57. 김슬옹·김응 글/임미란 그림(2016). ≪역사를 빛낸 한글 28대 사건≫. 아이세움.
58. 김슬옹·김은영·김주연·김주희·이소영·이혜선(2016). ≪한번에 합격하는 한국어 교육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해설≫ 크라운출판사.
59. 김슬옹‧김응 글/이수진 그림(2017). ≪한글 대표 선수 10+9≫. 창비.
60. 서상규 편저(2017). ≪불교와 한글, 한국어≫. 한국문화사.
61. 허재영ㆍ김슬옹 외(2017).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1≫. 경진.
62. 허재영ㆍ김슬옹 외(2017).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2≫. 경진.
63. 허재영ㆍ김슬옹 외(2017).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3≫. 경진.
64. 허재영ㆍ김슬옹 외(2017).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4≫. 경진.
65. 허재영ㆍ김슬옹 외(2017).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5≫. 경진.
66. 허재영ㆍ김슬옹 외(2017).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6≫. 경진.
67. 허재영ㆍ김슬옹 외(2017).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7≫. 경진.
68. 허재영ㆍ김슬옹 외(2017).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8≫. 경진.
69. 허재영ㆍ김슬옹 외(2017). ≪근대계몽기 학술 잡지의 학문 분야별 자료 9≫. 경진.
70. 세종 외/김슬옹 옮김/문관효 글씨(2017). ≪훈민정음≫(해례본 번역 손바닥책). 학생신문사. 
71. 김슬옹(2017/2020: 증보4쇄). ≪훈민정음 해례본 입체강독본(개정증보판)≫. 박이정.
72. 김슬옹(2017). ≪한글혁명≫. 살림터.
73. 김슬옹 글/지문 그림(2017). ≪역사가 숨어 있는 한글가온길 한바퀴≫. 해와나무.
74. 한국국학진흥원 기록유산센터 엮음(2018).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한국국학진흥원.
75. 윤영선ㆍ김슬옹(2018). ≪장영실과 갈릴레오 갈릴레이-나란히 보는 두 과학자 이야기≫. 숨쉬는책공장.
76. 김슬옹(2018). ≪웃는 한글≫. 꿈터.
77. 김슬옹 외(2019). ≪이야기로 보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경상북도ㆍ한국국학진흥원.
78. 조남철ㆍ강현화ㆍ김슬옹 외(2019). ≪아시아발전재단과 함께 하는 한국어≫. (재)아시아발전재단.
79. 허재영ㆍ김경남ㆍ정대현ㆍ김슬옹ㆍ김정애(2019). ≪계몽의 수단: 민족어와 국어≫. 경진출판.
80. 허재영ㆍ강미정ㆍ윤금선ㆍ김슬옹ㆍ김정애(2019). ≪일제 강점기 계몽운동의 실제≫. 경진출판.
81. 허재영ㆍ고경민ㆍ김슬옹ㆍ김경남(2019). ≪한문 사상과 근현대 계몽운동의 지향점≫. 경진출판.
82. 허재영ㆍ김슬옹ㆍ윤금선ㆍ김혜련ㆍ서민정(2019). ≪한국 근대 계몽운동의 사상적 기반≫. 경진출판.
83. 김슬옹(2019). ≪세종 한글 이야기≫. 교보문고(비매품).
84. 김슬옹(2019). ≪한글교양≫. 아카넷.
85. 김슬옹(2019). ≪세종학과 융합인문학≫. 보고사.
86. 김슬옹 외(2020). ≪인물로 보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경상북도ㆍ한국국학진흥원.
87.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2020). ≪인물로 보는 근대 한국≫. 세창출판사.
88. 김슬옹ㆍ이기범 엮음(2020). ≪조선 으뜸 예향 정부인 순창 설씨의 삶과 예술≫. 인쇄향.
89. 권오향ㆍ김기섭ㆍ김슬옹ㆍ임종화(2020). ≪세종은 과연 성군인가, 이영훈 우문에 대한 현답≫. 보고사.
90. 김슬옹 외(2020). ≪주제로 보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경상북도ㆍ한국국학진흥원.
91. 김슬옹(2020). ≪조선시대 여성과 한글 발전≫. 역락.
92. 정우영ㆍ김슬옹ㆍ이기범(2021). ≪국역 속삼강행실도≫. 인쇄향.
93. 말모이편찬위원회(2021). ≪말모이 다시 쓰는 우리말≫. 시공사.
94. 김슬옹ㆍ강수현 글/강혜숙 그림(2021). ≪위대한 세종 한글 1≫(모음). 한울림어린이.
95. 김슬옹ㆍ강수현 글/강혜숙 그림(2021). ≪위대한 세종 한글 2≫(자음). 한울림어린이.
96. 김슬옹ㆍ강수현 글/강혜숙 그림(2021). ≪위대한 세종 한글 3≫(받침). 한울림어린이.
97. 김슬옹ㆍ강수현 글/강혜숙 그림(2021). ≪위대한 세종 한글 4≫(받아쓰기). 한울림어린이.
98. 김슬옹ㆍ강수현 글/강혜숙 그림(2021). ≪위대한 세종 한글 5≫(해설). 한울림어린이.
99. 김슬옹ㆍ황평우 외(2021). ≪종로 가온 한글≫. 종로구청.(대표집필)
100. 김슬옹(2021). ≪삶쓰기 통합논술 교육론≫. 역락.

     

      ◐ 김슬옹 논저 목록(1992-2021)
♣ 학위 논문
◆ 학사: 김슬옹(1986). 입말투 글말의 전통과 뜻-한글문화의 해적이스런 뜻(역사적 의미).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사학위 논문.
◆ 석사:  김슬옹(1991). 이른바 품사통용어의 사전 기술 연구-- 품사론의 재검토를 위하여-.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사 1: 김슬옹(2005). ≪조선왕조실록≫의  한글 관련 기사를 통해 본 문자생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 논문.
◆ 박사 2:  김슬옹(2010).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맥락’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 
◆ 박사 3: 김슬옹(2020). ≪훈민정음≫ 해례본의 역주 방법론 정립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 논문.

♣ 일반 논저
1. 김슬옹(1992). 이른바 “품사통용어”의 사전 기술 연구. ≪사전편찬학 연구≫ 4집. 연세대학교 한국어사전편찬실. 104-169쪽.(석사 논문 재수록)
2. 연세대한국어사전편찬실(김슬옹)(1992). 한국어 사전 편찬 참고 문헌 목록(국내편).  ≪사전편찬학 연구≫ 4집. 연세대학교 한국어사전편찬실 187-231쪽.
3. 김슬옹(1992). 정보화 시대에서의 한글 운동의 방향. ≪한글새소식≫ 236호(4월호), 21-24쪽. 한글학회.
4. 김슬옹(1993). 세종과 최만리의 논쟁을 통해 다시 생각해 보는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 ≪한글새소식≫ 1993년 11월호. 재수록: 김슬옹(1999). 세종과 최만리의 한 판 싸움. ≪말을 번지르르하게 하는 저놈을 매우 쳐라≫. 다른우리. 259-263쪽.
5. 김슬옹(1993). 어휘 평가에 따른 고교생용 사전(중사전) 활용의 문제점. ≪함께여는 국어교육≫ 16호(1993년 여름호). 전국국어교사모임. 재수록: 허재영․김슬옹(1993). 국어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서광학술자료사. 371-412쪽.
6. 김슬옹(1993). 한글이름 짓기의 과학적 분석과 방향. ≪함께여는 국어교육≫ 18호(겨울호). 전국국어교사모임.
7. 김슬옹(1994). 이희승 국어사전 문제 많다. ≪말≫ 100호(10월호). 191-192쪽.
8. 김슬옹(1995). 훈민정음 언해본(희방사본)의 희방사를 찾아서. ≪함께여는 국어교육≫ 25호(가을호). 전국국어교사모임 
9. 김슬옹(1996). 민간 어원 담론. ≪말과 글≫ 66호(봄호). 한국교열기자회 
10. 김슬옹(1996). 우리말 컴퓨터처리 국제학술대회 3년 결산. ≪등불≫ 10호. 국어정보학회 
11. 김슬옹(1996). 어휘를 보면 세계가 보인다-너와 나의 말글살이를 위한 어휘공부를 위하여. ≪봄봄≫ 봄호. 디딤돌 
12. 김슬옹(1996). 비정상 언어는 없다. ≪성균≫ 58호. 성균관대학교. 194-202쪽.
13. 김슬옹(1996). 담론에 따른 어휘 의미 분석 모색. ≪연세어문학≫ 28집.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재수록: 김슬옹(2009). ≪담론학과 언어분석-맥락·담론·의미-≫. 한국학술정보(주).  
14. 김슬옹(1996). 관동별곡의 노랫가락을 찾아서. ≪함께여는 국어교육≫ 28호(여름). 전국국어교사모임. 
15. 김슬옹(1996). 한국인의 훈민정음과 삼성전자의 훈민정음. ≪함께여는 국어교육≫ 29호(여름호). 전국국어교사모임, 38-61쪽. 
16. 김슬옹(1996). 정보시대 한글의 굴레를 벗자. ≪한글새소식≫ 291호(11월호). 한글학회. 
17. 김슬옹(1997). 개념적 의미에 대한 몇 가지 오해에 대하여-왜 개념적 의미는 담론적 의미인가. ≪담화와 인지≫ 4권 2호. 담화인지학회. 51-75쪽.
18. 김슬옹(1997). 영부인 담론의 문제성. ≪배워서 남주자≫ 12호(9월호). 해오름국어연구소. 42-45쪽.
19. 김슬옹(1997). 세종 탄신 600돌의 진정한 의미 설정을 위하여. ≪나라사랑≫ 94집. 외솔회 
20. 김슬옹(1997). 유행어를 위하여. FM을 위하여. ≪함께여는 국어교육≫ 33호(가을호). 전국국어교사모임. 
21. 김슬옹(1997). 우리말 상표 이미지 분석. ≪사회평론 길≫ 11월호. 사회평론사. 
22. 김슬옹(1997). 마광수와 사라의 자유언어론. ≪자유정신≫ 4호. 자유정신 편집위원회(연세대학교) 
23. 김슬옹(1997). 마광수 담론의 언어전략-통념에 대한 즐거운 저항. 신나는 반란-. ≪REVIEW≫ 12호. 리뷰엔리뷰.(재수록: 마광수 시집. 1997. ≪사랑의 슬픔≫. 해냄. 165-186쪽.)
24. 김슬옹(1997). 교양국어를 없앤다구요?. ≪사회평론 길지≫ 1997년 4월호. 사회평론 
25. 김슬옹(1997). 통합교과지도의 자료. 사전. ≪중등 우리교육≫ 2월호. 166-169쪽.
26. 김슬옹(1998). 이규보 ‘슬견설’ 읽기의 주요 관점 설정-고전읽기와 관점 설정의 중요성. ≪한글새소식≫ 307호. 한글학회. 18-19쪽.
27. 김슬옹(1998). 언어분석을 위한 맥락설정 이론. ≪목원어문학≫ 16집. 목원대학교 국어교육과. 5-65쪽. 김슬옹(2009). ≪담론학과 언어분석-맥락·담론·의미-≫. 한국학술정보(주). 53-107쪽. 재수록(2장 맥락 설정과 언어 분석) 
28. 김슬옹(1998). 창의력을 기르는 동화 읽기ㆍ쓰기.  ≪우리교육≫(초등). 12월호.
29. 김슬옹(1998). 적극적인 토론과 발표를 이끄는 문제설정식 수업 전략. ≪대학교육≫ 94호(98년 7.8월호) 
30. 김슬옹(1998). 상보 반의어 설정 맥락 비판. ≪한국어 의미학≫ 3집. 한국어의미학회. 67-95쪽. 재수록: 김슬옹(2009). ≪담론학과 언어분석-맥락·담론·의미-≫. 한국학술정보(주). 157-191쪽.
31. 김슬옹(1999). 창의력/상상력/비판력을 위한 맥락 읽기와 통합교육전략. ≪한민족문화연구≫ 4집(한민족문화학회 엮음). 새로운 사람들. 
32. 김슬옹(1999). 관점설정과 논술 교육. ≪한민족문화연구≫ 4집. 한민족문화학회.새로운 사람들. 93-101쪽.
33. 김슬옹(2000). 남과 북으로 쪼개진 관동팔경 답사기행 갈거나. ≪문화연대≫ 9호 16쪽(2000.9.1.).
34. 김슬옹(2001). 청소년의 정체성과 청소년 문학의 정체성- 성장소설 읽기를 중심으로. ≪문학과교육≫ 17호(가을호). 문학과교육연구회. 43-60쪽.
35. 김슬옹(2001). 말을 통해 본 세상. 말로써 꿈꾸는 세상. ≪한글새소식≫ 352호(12월호). 한글학회. 증보 수록: 김슬옹(2002). 말에 담긴 세상. ≪중학교 2학년을 위한 우리말 우리글(전국국어교사모임)≫. 나라말. 218-221쪽. 
36. 김슬옹(2001). 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 ≪교육한글≫ 14호. 한글학회. 31-65쪽. 재수록: 김슬옹(2010).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341-377쪽.
37. 김슬옹(2001). 어휘교육에 대한 책읽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50호(겨울호). 전국국어교사모임 
38. 김슬옹(2001). 아동문학 작품으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관점 지도의 문제. ≪문학교육 두루펴기≫ 창간호. 세손문학교육진흥원. 34-59쪽.
39. 김슬옹(2001). 말하기 교육에 대한 책읽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49호(가을호). 전국국어교사모임 
40. 김슬옹(2001). 독서법과 독서교육에 대한 책읽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47호(봄호). 전국국어교사모임 
41. 김슬옹(2001). 글쓰기와 논술 교육에 대한 책읽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48호(여름호). 전국국어교사모임 
42. 김슬옹(2002). 인성교육과 정체성 문제로 인한 가출 독서상담 프로그램. ≪독서교육≫ 2호. 전국독서새물결모임. 123-142쪽.
43. 김슬옹(2002). 활동중심 책고르기 전략과 실제. ≪어린이와 독서≫ 23집. 어린이 도서관. 77-94쪽.
44. 김슬옹(2002). 정철의 ‘관동별곡’ 어떻게 읽을 것인가. ≪문학한글≫ 15․16집. 한글학회.(재수록: 한실 이상보 박사 여든 살 기림 글모음(펴내는 모임 엮음). 2006. 민속원. 654-676쪽.
45. 김슬옹(2002). 읽기지도를 위한 발문(문제설정. 질문) 전략. ≪함께여는 국어교육≫ 53호(가을호). 전국국어교사모임. 209-230쪽. 
46. 김슬옹(2002). 독서상담. 독서치료/치유. 독서클리닉에 대한 책읽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51호(봄호). 전국국어교사모임. 292-310쪽. 
47. 김슬옹(2002). 국어교육 총론에 관한 책읽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52호(여름호). 전국국어교사모임
48. 김슬옹(2003), 청소년을 미디어 비평가로 키우기 위한 전략-대중매체 읽고 쓰고 생각하기의 기획에 관하여, ≪청소년출판≫ 북페뎀 3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174-184쪽.
49. 김슬옹(2003). 고전문학 교육론에 관한 책읽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58호(겨울호). 전국국어교사모임 139-153쪽.
50. 김슬옹(2003). 학생 한글운동의 회고. ≪말과 글≫ 97호(겨울호).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51. 김슬옹(2003). 어휘 사전에 대한 책읽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56호(여름호). 전국국어교사모임 98-118쪽.
52. 김슬옹(2003). 문학교육론에 관한 책읽기- 문학과 교육의 어려운 만남. 그 소통을 위하여. ≪함께여는 국어교육≫ 55호(봄호). 전국국어교사모임. 79-96쪽.
53. 김슬옹(2003). 한글과 한국어에 관한 교양책 읽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57호(가을호). 전국국어교사모임 138-155쪽.
54. 김슬옹(2003). 독서교육의 전략과 원리. ≪독서문화연구≫ 3호. 대진대학교 독서문화연구소. 1-26쪽
55. 김슬옹(2003). 언어전략의 일반 특성. ≪한말연구≫ 13호. 한말연구학회. 85-104쪽.
56. 김슬옹(2004). 시교육론에 대한 책읽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59호(봄호). 전국국어교사모임 152-173쪽.
57. 김슬옹(2004).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것들. ≪나라사랑≫ 107집. 외솔회.71-75쪽. 
58. 김슬옹(2004). 텍스트형 논술 교육을 통한 사고력 교육 전략. ≪자하어문집≫ 19집. 상명어문학회. 31-76쪽.
59. 김슬옹(2004). 소주제별 네 박자 또물또 독서 교육 프로그램 구성 전략과 실제. ≪교육 한글≫ 16․17호. 한글학회. 113-161쪽.
60. 김슬옹(2004). 한글이름(인명)의 새로운 범주화와 사회적 의미. ≪사회언어학≫ 12권 2호(2004.12). 한국사회언어학회.  29-50쪽. 재수록: 김슬옹(2013). ≪한글 우수성과 한글 세계화≫. 한글파크. 126-145쪽.
61. 김슬옹(2004.12.30). 조선시대 ‘언문(諺文)’의 비칭성과 통칭성 담론. ≪겨레어문학≫ 33집. 겨레어문학회. 5-29쪽.
62. 김슬옹(2005). 시사 사건의 담화 의미 분석: 유시민 옷 사건 인터넷 매체 담화 주제문 분석을 통해. ≪상명논집≫ 12호. 상명대학교 대학원.
63. 김슬옹(2005). 언어 분석 방법론으로서의 담론학 구성 시론. ≪사회언어학≫ 13권 2호. 한국사회언어학회. 43-68쪽.
64. 김슬옹(2006). ≪訓民正音≫(해례본)의 간행 책으로서의 담론과 교육 전략. ≪한국어문학연구≫ 47집. 한국어문학연구학회. 119-147쪽.
65. 김슬옹(2006). 훈민정음 해례본의 ‘우리나라와 말글’ 명칭 번역 담론-표준 공역을 제안하며. ≪언어과학연구≫ 39집. 언어과학회. 27-54쪽. 재수록: 김슬옹(2010).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182-235쪽
66. 김슬옹(2006). ‘훈민정음’의 명칭 맥락과 의미. ≪한글≫ 272호. 한글학회. 165-196쪽. 재수록: 김슬옹(2010/2011).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개정판)≫ 3장. 지식산업사.100-130쪽.
67. 김슬옹(2007). 문맹률 거의 0%가 입증하는 한글의 과학성. ≪온한글 웹진≫ 2007년 11월호. 재수록: 창비 ≪고등국어≫ 하 해설서.
68. 김슬옹(2007). 훈민정음은 과학이다. ≪문예와비평≫ 17호(가을겨울호). 집문당. 20-50쪽.
69. 김슬옹(2007). 독서와 어휘:  독해력과 어휘력의 진정한 관계 맺기. ≪책맘꾸맘≫ 12호(6월호). 18-19쪽.
70. 김슬옹(2007). 훈민정음 창제 목표 달성의 배경에 관한 연구. 솔재 최기호 박사 정년 퇴임 기념 논총 [한국어의 역사와 문화]. 박이정. 145-184쪽.
71. 김슬옹(2007). ‘훈민정음’ 영인본과 연구 문헌 목록 구성. ≪한글≫ 278호(겨울호). 한글학회. 139-224쪽. 
72. 김슬옹(2007). 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에 대한 중층 담론. ≪사회언어학≫ 15권 1호. 21-45쪽. 한국사회언어학회. 재수록: 김슬옹(2011).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73. 김슬옹(2007). ‘훈민정음’ 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 ≪한민족문화연구≫21집. 한민족문화학회. 95-135쪽. 
74. 김슬옹(2008). 칼럼형 논술문(에세이) 쓰기 지도 전략과 실제. ≪동국어문학≫ 제19․20집. 동국어문학회.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5-27쪽.
75. 김슬옹(2008). 외래어표기법의 된소리 표기 허용에 대한 맥락 잡기. ≪새국어생활≫ 18권 4호(겨울호). 국립국어원. 71-85쪽.
76. 김슬옹(2008). 대입 논술 문제 유형 분석. ≪우리말교육현장연구≫ 2권 2호. 우리말교육현장학회. 75-132쪽.
77. 김슬옹(2008). 교과서 중심 통합교과 논술 수업 모형 구성. ≪돈암어문학≫ 21집. 돈암어문학회. 311-362쪽
78. 김슬옹(2008). 앙부일구 복원 문제와 의사소통 교육. ≪한민족문화연구≫ 27집. 한민족문화학회. 167-194쪽.
79. 김슬옹(2008). 세종과 소쉬르의 통합언어학적 비교 연구. ≪사회언어학≫ 16권 1호. 1-23쪽. 한국사회언어학회. 김슬옹(2010).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재수록. 404-439쪽.
80. 김슬옹(2008). 혼동 맞춤법 문제 연구-원형 밝히기를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40집. 겨레어문학회.21-54쪽.
81. 김슬옹(2008). 訓民正音 세종 ‘서문’의 현대 번역 비교와 공역 시안. ≪한국어 의미학≫ 25. 한국어 의미학회. 1-25쪽. 재수록: 김슬옹(2010).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236-268쪽
82. 김슬옹(2008). ‘訓民正音(해례본)’의 고전 가치와 다중 읽기용 음토달기 텍스트 구성론. ≪한민족문화연구≫ 24집. 한민족문화학회. 5-44쪽. 재수록: 김슬옹(2010).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298-340쪽
83. 김슬옹·전한성(2009).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학습자의 역동적 태도 구현 연구. ≪새국어교육≫ 83호. 한국 국어교육 학회. 57-98쪽. 재수록: 김혜숙 외(2010). 국어교육의 통합성을 지향하는 매체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동국대학교출판부. 361-413쪽.
84. 김슬옹(2009).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맥락’ 범주의 핵심 교육 전략. ≪국어교육학연구≫ 36집. 국어교육학회. 255-286쪽.
85. 김슬옹(2009). 한글 음절표 의미와 교육용 유형 설정. ≪한국어학≫ 44. 한국어학회. 111-146쪽.
86. 김슬옹(2009). 세종언어정책 담론: 훈민정음을 통한 통합과 통섭 전략. ≪U.B.한국학 연구≫ 창간호. 몽골 울란바타르대학교 한국학연구소. 37-61쪽.(Ким Сылун(2009). Сэжун хааны хэлний бодлогын хэлэлцүүлэг: "Хүньминжөным"-гээр  илрэн гарсан нэгдмэл төлөвлөгөө). ≪U.B.СOROHГOC CYDNAN≫. 재수록: 김슬옹(2010/2011). ≪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개정판)≫ 12장.. 지식산업사. 438-463쪽.  
87. 김슬옹(2009). 7차 교육과정 2007 개정안에 따른 독서교육의 이해와 실제 전략. ≪교육연구정보≫ 55호. 강원도교육과학연구원. 6-15쪽.
88. 김슬옹(2010). 또물또 특수 첨삭 지도 원고지 개발 취지와 실제. ≪한민족문화연구≫ 35집. 한민족문화학회. 333-356쪽.
89. 김슬옹(2010). 인식 방법론 어휘 담론과 교육. ≪한말연구≫ 26호. 한말연구학회. 33-62쪽.
90. 김슬옹(2010). 불교 관련 한글 문헌의 사회언어학적 의미-세종, 세조 때의 불경 언해서를 중심으로. ≪나라사랑≫ 119집. 외솔회. 279-310쪽.    
91. 김슬옹(2010). 세종의 ‘훈민정음’ 관점으로 본 외솔의 한글운동론- 외솔의 한글운동은 정음운동이다. -. ≪나라사랑≫ 118집. 외솔회. 152-172쪽.
92. 김슬옹(2010). 통합 국어교육용 또물또 발문(발제) 모형 계보와 응용성. ≪동국어문학≫ 22집. 동국어문학회.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5-27쪽.
93. 김슬옹(2010). 삼국시대 언어의 동질설·이질설과 한국어 계통론: 세 설의 상관 관계. 전정예  외 10(2010). ≪새로운 국어사 연구론≫. 경진. 490-502쪽..
94. Margaret Thomas(2011). King Sejong the Great(1397-1450). Fifty Key Thinkers on Language and Linguistic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49-55. 김슬옹 번역(2019). 세종대왕(1397-1450):언어와 언어학 분야의 50대 주요 사상.  ≪세종학과 융합인문학≫.보고사.  562-577쪽.(원문 재수록: 578-588쪽)
95. 김슬옹(2011). 국어교육을 위한 근대국어 시대구분론. ≪사회언어학≫ 19권 2호. 한국사회언어학회. 85-106쪽. 재수록: 김하수 엮음(2014). ≪문제로서의 언어4≫. 커뮤니케이션북스. 90-116쪽.
96. 김슬옹(2011). 다목적 통합형 ‘또물또’ 발문 모형 설정론. ≪국어 교육≫ 134. 한국어교육학회. 303-332쪽.
97. 김슬옹(2011). 방송언어의 역기능 문제에 대한 소통과 비평 관점의 해결 전략.  ≪나라사랑≫ 120집. 외솔회. 199-250쪽. (토론: 이종구).
98. 김슬옹(2012). 학교와 연계한 독서 프로그램 구성 전략: 초등 고학년 한글교육을 중심으로. ≪어린이와 독서≫ 33집. 어린이도서관. 40-60쪽.
99. 김슬옹(2012). 조선시대의 훈민정음 공식문자론. ≪한글≫ 297. 한글학회. 205-234쪽.→재수록: 김슬옹(2012/2015). ≪조선시대의 훈민정음 발달사≫. 역락. 12장
100. 김슬옹(2012). 한글 우수성, 과학성, 독창성에 대한 통합 연구. ≪문법교육≫ 16호. 문법교육학회.37-82쪽.
101. 김슬옹(2013). ≪訓民正音≫(1446) ‘정음 예의’의 표준 공역 시안. ≪겨레어문학≫ 51집. 겨레어문학회. 253-324쪽.
102. 김슬옹(2013). 세종학의 필요성과 주요 특성. ≪한민족문화연구≫ 42. 한민족문화학회. 7-42쪽. 
103. 김슬옹(2013). 조선시대 ‘언간’에 나타난 우리말과 글의 아름다움과 가치. ≪나라사랑≫ 122집. 외솔회. 190-210쪽. 성낙수 외 14인(2015). 국어학과 국어교육학. 채륜. 10-29쪽.
104. 김슬옹(2013). 세종의 15대 업적에 나타난 세종 리더십. ≪짚신문학≫ 15호(겨울호). 짚신문학회. 271-284쪽.
105. 김슬옹(2013). 한글의 힘, 한글의 미래. ≪쉼표, 마침표≫(온라인 웹진). 2013.10.22. 국립국어원. 
106. 김슬옹(2014). 세종의 ‘정음 문자관’의 맥락 연구. ≪한말연구≫ 35호. 한말연구학회. 5-45쪽. 재수록: 김슬옹(2019). ≪세종학과 융합인문학≫. 보고사. 218-258쪽. 
107. 김슬옹(2014). 한글학의 특성과 내용 구성 원리. ≪한국어학≫ 64권. 한국어학회. 35-58쪽. 
108. 김슬옹(2015). ≪훈민정음≫ 해례본 간송본의 역사와 평가. ≪한말연구≫ 37호. 한말연구학회. 5-40쪽.
109. 김슬옹(2015). ≪훈민정음≫ ‘정인지 서문’의 표준 번역을 위한 시안. ≪청람어문교육≫ 53. 청람어문교육학회. 329-374쪽.
110. 김슬옹(2016). 신경준, ≪운해훈민정음[邸井書]≫의 정음 문자관. ≪한말연구≫ 39호. 한말연구학회. 5-40쪽.  재수록: 김슬옹(2018). 운해 훈민정음, 세종의 정음 문자관을 잇다. ≪영웅≫ 36호(10월호). 꼬레아우라. 12-36쪽.
111. 김슬옹(2016). 최만리, 한글 창제를 반대하지 않았다: 갑자상소의 정치적·학문적 논리. ≪해주최씨 대종회 종회지≫ 4집. 해주최씨대종회. 85-98쪽.
112. 김슬옹(2017). ≪훈민정음≫ 해례본 갈무리시[訣詩]의 교육용 텍스트 구성과 활용 방안. ≪청람어문교육≫ 61. 청람어문교육학회. 87-126쪽.(3.31)
113. 김슬옹(2017). ≪훈민정음≫ 해례본 연구와 강독용 교재 구성과 실제. ≪한말연구≫ 43호. 한말연구학회. 65-92쪽. (3.31)
114. 김슬옹(2017). 불교를 통한 훈민정음 보급의 의미. 서상규 편저(2017). ≪불교와 한글, 한국어≫. 한국문화사. 69-118쪽.
115. 김슬옹 번역(2017). 세종대왕(1397-1450):언어와 언어학 분야의 50대 주요 사상가(번역).  ≪세종학연구≫ 16.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89-198쪽.(원문 재수록: 199-204쪽). Margaret Thomas(2011). King Sejong the Great(1397-1450). Fifty Key Thinkers on Language and Linguistic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49-55. 
116. 김슬옹(2017ㄷ). 세종대왕, 세종학’ 관련 연구․자료 문헌 목록. ≪세종학연구≫ 16.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5-246쪽.
117. 김슬옹 번역(아비딘 저)(2017). 찌아찌아 한글 사용의 진실. ≪말과 글≫ 150호(봄호). 한국어문기자협회. 70-75쪽. Abidin(2015). Expectation and challenge on using Cia Cia script adapted from Hangeul in Cia Cia Laporo Sorawolio community Baubau city. 《한글과 한국문학의 세계화, 한글 문학을 노래하다(세계한글작가대회 발표자료집)》. 2015.9.15.-18. 경주화백컨벤션센터. 192-196쪽.
118. 김슬옹(2018). 한글날 배포 소책자 제작 과정과 교육적 의의. ≪문법 교육≫ 33호. 한국문법교육학회. 31-70쪽.
119. 김슬옹(2018). 한글 융합교육 ‘교수-학습’안에 대한 연구. ≪한글≫ 320호. 한글학회. 459-498쪽.
120. 김슬옹(2018). ≪훈민정음訓民正音≫ 해례본(The Hunmn Chongum Manuscript). 한국국학진흥원 기록유산센터 엮음(2018).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한국국학진흥원. 14-33쪽.
121. 김슬옹(2018). 주시경ㆍ김두봉ㆍ최현배를 기리는 국어교육 -한글가온길과 관련 유적지 답사 체험을 통한 교육. ≪나라사랑≫ 127집. 외솔회. 255-310쪽.
122. 김슬옹(2018). 성삼문의 훈민정음 관련 공로 의미. ≪나라사랑≫ 127집. 외솔회. 149-173쪽.
123. 김슬옹(2019). ≪훈민정음≫ 해례본의 내용과 가치에 대한 재론. ≪부산외솔회지≫ 10집. 부산외솔회. 26-58쪽.
124. 김슬옹(2019). 인류문명의 기적, ≪훈민정음(해례본)≫. 간송본 뒷이야기. 한국국학진흥원 기록유산센터 엮음(2019). ≪이야기로 보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경상북도ㆍ한국국학진흥원. 37-66쪽.
125. 서현정ㆍ김슬옹(2019). 공공언어 정확성 진단 기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공공언어학≫ 2호. 한국공공언어학회. 121-147쪽.
126. 김슬옹(2019). 서울특별시 차별어 순화어의 확산을 위한 주요 방안-국어진흥 운동 차원에서. ≪공공언어학≫ 1호. 한국공공언어학회. 79-106쪽.
127. 김슬옹(2019). 일제강점기에 우리말글 어떻게 지켰나?. ≪PEN문학≫ 149호(5ㆍ6월호). 국제PEN한국본부. 10-22쪽.
128. 김슬옹(2019). 한글 혁명의 시작과 완성, 문학-한글 혁명과 알파고 시대의 문학. ≪PEN문학≫ 133호(9ㆍ10월호). 국제PEN한국본부. 30-35쪽.
129. 김슬옹(2020). 한글을 창제한 성군.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2020). ≪인물로 보는 근대 한국≫. 세창출판사. 11-34쪽.
130. 김슬옹(2020). ‘역설’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여성의 한글(훈민정음) 사용과 의미. ≪지식인문학≫ 2권 1호. 지식인문학연구회. 7-36쪽.
131. 김슬옹(2020). 국어기본법의 역사적 의미와 과제. ≪공공언어학≫ 4호. 한국공공언어학회. 37-74쪽. 
132. 김슬옹(2020). ≪훈민정음≫ 해례본을 만들고 지켜온 사람들. 한국국학진흥원 기록유산센터 엮음(2020). ≪인물로 보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경상북도ㆍ한국국학진흥원. 9-41쪽.
133. 김슬옹(2020). ≪훈민정음≫ 해례본 음토달기본과 번역: 문장 단위 견줌본. ≪부산외솔회지≫ 11집. 부산외솔회. 55-71쪽.
134. 김슬옹(2020). ≪훈민정음≫ 해례본체와 언해본체의 기원성과 명명의 가치. ≪부산외솔회지≫ 11집. 부산외솔회. 162-193쪽.
135. 김슬옹(2020). 헐버트의 “The Korean Language(조선어, 1889)”의 국어사ㆍ국어학사적 의미. ≪The Korean language≫(헐버트 박사 71주기 추모특집 자료집). (사)헐버트기념사업회. 6-13쪽.
136. 김슬옹(2020). 한글 편지(언간, 한글 간찰)와 여성. ≪PEN문학≫ 156호(7ㆍ8월호). 국제PEN한국본부. 70-89쪽.
137. 김슬옹(2021). ≪훈민정음≫ 해례본의 초성자, 중성자 도표식 분류 대안. ≪우리말교육현장연구≫ 28호. 우리말교육현장학회. 71-102쪽.
138. 김슬옹(2021). 낱말만들기(조어법)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교육 방향. ≪부산외솔회지≫ 12집. 부산외솔회. 61-70쪽.
139. 김슬옹 외(2021). 숫자로 보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의미와 가치 확산 방안. ≪주제로 보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경상북도ㆍ한국국학진흥원. 9-41쪽.
140. 김슬옹(2021). 차별어의 특성별 분류에 따른 차별어 판별 기준 연구. ≪공공언어학≫ 6호. 한국공공언어학회. 47-79쪽.

묵묵히 자신의 사명을 다하고 있는 김슴옹 박사님을 기립박수로 칭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