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과 개학은 청소년들에게 새로운 도전
입학과 개학은 청소년들에게 새로운 도전
  • 이영대 가톨릭관동대학교 조교수
  • 승인 2019.03.02 23:52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월이 되면 청소년들이 새로운 학교에 입학하거나 아니면 상급학년으로 올라가 개학을 한다.  초등학생이 중학생이 되고, 중학생이 고등학생이 되는 등 상급학교로 진학하거나 한 학년씩 올라간다. 상급학교로 입학하거나 한 학년 올라가는 청소년을 보면서 흐뭇함을 느끼기도 하고 한편 걱정도 있으리라 생각한다.

청소년에게 새로운 학기를 맞아 자신의 꿈을 정하고 목표로 만들고, 단계적인 계획을 만들어 이것이 그냥 생각으로만 그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가 흔히 ‘Dreams come true’라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꿈을 실현시킬 수 있을까요? 꿈을 실현하는데도 나름대로 전력이 필요하다.

첫째, 청소년들이 꿈을 하기 위해서 제일 먼저 알아야 될 게, 과연 자기 자신에 대해서 알아야 된다. 청소년이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무엇을 잘하는지? 성격이 어떤 특성이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왕이면 자신이 하고 싶고 잘하는 일을 하여야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

둘째, 앞으로의 직업세계에 대하여 알아야 한다. 적을 알고 싸우면 백전백패라는 것이 있다. 앞으로 우리 청소년들이 활동하는 미래세계는 지구촌화사회이고, 디지털사회이다. 이런 사회 흐름에 대하여 잘 알고 미래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인재상을 잘 알고 준비하여야 한다.

셋째,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듯이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자기 나름대로 내가 이 세상에 사는 이유를 미션이라고 한다. 어떤 사람은 예수님의 뜻을 펼치기 위하여 산다고 하고, 빌게이츠는 모든 사람들 책상 위에 컴퓨터를 한 대 놓고 싶다는 것이고, 헨리 포드는 값싼 가격으로 자동차를 보급하고 싶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내가 이 세상에 사는 이유, 그것을 청소년들한테 한 번 생각하게 해보자. 

넷째, 자신이 본받고 싶은 사람을 찾으라는 것이다. 박세리 키즈라는 것이 있는데 신지애 같은 선수들이 초등 학생때 박세리가 골프치는 것을 보고 박세리 언니 같은 사람이 되겠다고 하여 훌륭한 골프선수가 된 것이다. 또 다른 예로 반기문 같은 사람이 되고 싶다면 뭘 공부하여야 하고 무엇을 어떻게 하여야 하겠다는 목표가 생긴다. 이런 식으로 청소년들의 꿈을 키워주는 그런 과정이 필요하다.

이런 4가지를 종합하여 자신이 하고 싶은 꿈을 만들고 그 다음은 이 꿈을 목표로 만드는 것이다. 이 꿈을 목표로 만들려면 필요한 게 두 가지가 있다. 

'적자생존’이라고 이런 얘기 들어보았는가? 그게 무슨 뜻인가 하면 적어야 산다는 것이다. 그게 뭔가 하면 꿈을 막연한 목표로 생각하면 꿈으로 끝나는데, 이것을 적고, 그다음에 데드라인(deadline)을 정하고 언제까지 하겠다는 꿈을 기록하면 목표가 되는 것이다. 

목표 다음에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그다음 단계는 뭘까요? 목표를 잘게 쪼개면 계획(plan)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 청소년들이 자신이 앞으로 학교를 졸업하고 40-50년 동안 무엇을 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인생계획서를 만들어 보는 것이다.

우리 청소년들은 앞으로 엄청나게 흥미와 적성 등이 변화할 것이다. 그러나 인생계획서를 한번 만들어 본 청소년과 그렇지 않은 청소년은 틀리다. 현재 학교를 졸업하고 취업하기도 어렵고 취업을 한다고 하더라도 성공하기는 더욱 어렵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무조건 열심히 공부만 하라는 것 대신에 장기적인 방향 하에 청소년의 특성, 비전, 주관(관점), 본받고 싶은 사람을 찾아 꿈을 잡아주고 이를 기록하고 마감을 정하여 목표로 만들고 목표를 세분화하는 계획을 만들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새로운 학교에 입학하고 새학년으로 진급하는 청소년에 대하여 신경을 더 많이 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