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창의 탄식 8. 방유일순
진창의 탄식 8. 방유일순
  • 전형구 논설위원
  • 승인 2019.03.08 14: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유일순(謗由一脣) : 비방은 한 사람의 입을 통해 나온다

[칭찬신문=전형구 논설위원] 아암(兒菴) 혜장(惠藏)은 대단한 학승이었다. 사람이 거만하고 뻣뻣해 좀체 남에게 고개 숙일 줄 몰랐다. 다산은 그를 위해 5언 140구 700자에 달하는 긴 시를 써주었다. 몇 구절씩 건너뛰며 읽어본다.

전형구 논설위원
전형구 논설위원

"이름 얻기 진실로 쉽지 않지만, 이름 속에 처하기란 더욱 어렵네. 명예가 한 등급 더 올라가면, 비방은 십 층이나 높아진다네.(成名固未易, 處名尤難能. 名臺進一級, 謗屋高十層.)"

"정색하면 건방지다 의심을 하고, 우스개로 얘기하면 얕본다 하지. 눈이 나빠 옛 벗을 못 알아봐도, 모두들 교만하여 뻗댄다 하네.(色莊必疑亢, 語?期云陵. 眼鈍不記舊, 皆謂志驕矜.)"

덕을 기르고 스스로를 낮춰 내실을 기할 뿐 교만한 태도로 공연한 비방을 부르지 말 것을 혜장에게 당부했다.

다산은 또 「고시(古詩)」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들리는 명성이야 태산 같은데, 가서 보면 진짜 아닌 경우가 많네. 소문은 도올(??·사람을 해치는 흉악한 짐승)처럼 흉악했지만, 가만 보면 도리어 친할 만하지. 칭찬은 만 사람 입 필요로 해도, 헐뜯음은 한 입에서 말미암는 법.(聞名若泰山, 逼視多非眞. 聞名若?? , 徐察還可親. 讚誦待萬口, 毁謗由一脣)."

세상에는 혹세무민(惑世誣民)하는 가짜가 워낙 많아 자칫 속기가 쉽다. 선입견으로 겉만 보고 남을 속단해도 안 된다. 칭찬은 만 사람 입이 모여 이뤄지지만, 비방과 헐뜯음은 한 사람의 입만으로도 순식간에 번져나간다(謗由一脣). 걷잡을 수가 없다.

비방을 하는 쪽이나 당하는 쪽이나 말을 줄이는 것이 좋다. 그런데 사람 감정이 어디 그런가? 말꼬리를 잡고 가지를 쳐서 끝까지 간다. 다 피를 흘려야 끝이 난다. 잘못은 누구나 할 수가 있다. 하지만 그 다음 처리 과정에서 그 그릇이 드러난다. 가장 못난 소인은 제 잘못을 알고도 과감히 인정하여 정면 돌파하지 않고, 마치 아무 일도 없던 것처럼 미봉(彌縫)으로 넘어가려는 자다. 두 손으로 어이 하늘을 가리겠는가??

 

- 달아난 마음을 되돌리는 고전의 바늘 끝_『일침(一針)』, 정민, 김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