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물치지(格物致知)
격물치지(格物致知)
  • 전형구 논설위원
  • 승인 2023.04.28 05: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칭찬신문=전형구논설위원]
[칭찬신문=전형구논설위원]

 

[칭찬신문=전형구논설위원]격물치지(格物致知) - 《『大學』》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여 지식에 이른다

 

  격물치지(格物致知)는 사물의 참된 모습을 밝혀야 명확한 지식이 얻어진다는 뜻으로 격치라고도 한다.

 

  사서삼경 중 하나인 『大學』에 나오는 글로, 대학에는 삼강령(三綱領)과 팔조목(八條目)이 있다. 삼강령이란 ‘대학의 길(大學之道)’로서 밝은 덕을 밝히고(明明德), 백성을 이롭게 하며(親民), 지극한 선에 이르게 하는(止於至善) 세 갈래의 길이며, 이 삼강령을 실현하기 위한 팔조목이 격물(格物), 치지(致知), 성의(誠意), 정심(正心),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이다.

 

  ‘지식에 이르는 것은 사물을 궁구하는 데에 있다. 사물의 이치가 이루어진 이후에야 지식이 이르게 되고, 지식에 이르게 된 뒤에야 마음이 바르게 된다. 마음이 바르게 된 뒤에야 몸이 닦인다. 몸이 닦인 뒤에야 집안이 가지런해진다. 집안이 가지런해진 뒤에야 나라가 다스려진다. 나라가 다스려진 뒤에야 천하가 고르게 된다.

 

  격물에 대한 최초의 해석은 정현(鄭玄)이 내놓았다.

  “‘격(格)’은 ‘올 래(來)’ 자다. ‘물(物)’은 일 사(事)‘ 자와 같다. 그 지식이 선에 깊으면 선한 일을 따라오게 하고, 그 지식이 악에 깊으면 악한 일을 따라오게 한다. 일은 사람이 좋아하는 것에 따라오게 됨을 말하는 것이다.”

  성숙한 인격과 삼라만상을 두루 조망하는 자세를 갖추지 않으면 ‘평천하’라는 구상은 헛된 꿈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 매일 읽는 중국고전 1일1독, 김원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