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표정 23. 옥촉서풍
마음의 표정 23. 옥촉서풍
  • 전형구 논설위원
  • 승인 2019.01.26 21: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옥촉서풍(玉薥西風) : 아만을 버리고 참나를 돌아보다

[칭찬신문=전형구 논설위원] 추사는 좀체 남을 인정하는 법이 없었다. 남이 한 것은 헐고, 제 것만 최고로 쳤다. 아집과 독선에 찬 언행으로 남에게 많은 상처를 입혔다.

그가 단골로 꺼내든 카드는 “내가 중국에 갔을 때 실물을 봤는데”였다. 보지 못한 사람들은 그 한마디에 그만 꼬리를 내렸다. 조선에서는 그의 경지를 넘볼 사람이 없었다. 중국 학자들도 그를 호들갑스레 높였다. 재료도 중국제의 최고급만 골라 썼다.

그런 그가 만년에 제주와 북청 유배를 거듭 다녀온 뒤 결이 조금 뉘어졌다. 북청 유배에서 풀려 돌아오다 강원도 지역을 지날 때였다. 길을 가는데 옥수수 밭에 둘린 초가집이 한 채 있었다.

흘깃 보니 늙은 내외가 마루에 나와 앉아 웃으며 이야기꽃이 한창이었다. 내외는 길 가던 손이 불쑥 마당으로 들어서는 모습을 보았다.

손은 물 한 잔을 달래 마시더니 잠시 쉬어 가겠다는 듯 마루에 슬쩍 엉덩이를 걸친다. “여보 노인! 올해 나이가 몇이우?” “일흔입지요.” “서울은 가 보았소?” “웬걸인겁쇼. 관청에도 못 들어가 보았습니다.” “그래 이 산골에서 무얼 자시고 사우?” “옥수수를 먹고 삽니다.”

추사는 순간 마음이 아스라해졌다. 삶의 천진한 기쁨은 어디서 오는가?

한 세상을 발아래 둔 득의의 나날도 있었다. 세상이 알아주는 한다 하는 이가 반눈에도 차지 않았다. 하지만 갖은 신산(辛酸)을 다 겪고 제주 유배지에서 아내마저 떠나보낸 뒤, 다시 북청까지 쫓겨 갔다. 이제 늙고 병들어 가을바람에 지친 발걸음을 재촉한다. 타관의 꿈자리는 뒤숭숭하다. 흰 머리의 내외가 볕바라기로 앉은 툇마루의 대화, 서울 구경 한 번 못하고 관청 문 앞에도 못 가 봤지만, 옥수수 세 끼니로도 그들의 얼굴엔 시름의 그늘이 없었다. 아주 행복해 보였다.

 

- 달아난 마음을 되돌리는 고전의 바늘 끝_『일침(一針)』, 정민, 김영사